향교. 서원(14)
-
괴산 - 향교
괴산 향교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1981년 12월 2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명륜당은 1569년(선조 2)에 처음 건립되어 1647년(인조 25)과 1683년(숙종 9)에 중수되었고 1981년에 다시 보수되어 현재에 이른다.네이버지식백과
2025.04.08 -
무주 -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처음은 현의 동쪽에 건립하였다가 그 뒤 북쪽으로 옮겼는데, 이건한 뒤 호랑이의 침해가 심하여 1692년(숙종 18) 부사 김몽상(金夢上)이 향로산(香爐山) 서쪽으로 다시 옮겼으나 지대가 습하여 1834년(순조 34) 이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876년과 1884년 두 차례에 걸쳐 중수하고, 1897년(고종 34) 군수 조병유(趙秉瑜)가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1966년에 보수하였다. 1834년 김속(金涑)이 쓴 『향교이건기(鄕校移建記)』를 통해 무주의 열악한 상황을 알 수 있다. 무주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사대부가 부족하고 무주향교 건물도 방치되어 유교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
2025.04.06 -
고령 - 향교
高靈鄕校창건연대는 미상이나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군의 서쪽에 창건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을 때 위패만을 옮겨 매안(埋安)하였다.1676년 위패를 매안하였던 장소에 중건하였고, 1702년 현감 구문유(具文遊)가 당시의 향교 위치가 불길하다 하여 현위치로 이건하였다. 1917년 빈흥재(賓興齋)를 건립하였고, 1974년 교궁(校宮)을 전면 보수하였으며, 1983년 내삼문(內三門)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현재의 향교에는 사찰에서 사용한듯한 석재가 많이 있어서 향교를 이건하기 전에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과 8칸의 명륜당 및 빈흥재·서무(西廡)·주사(廚舍)·내삼문·외삼문 등이 있다.대성전에는 5성(五聖)·..
2023.12.10 -
김천 - 김산향교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2]김산향교는 조선 태조 1년(1392) 처음 지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인조 12년(1634) 대성전과 명륜당을 다시 지었고 동재·서재, 동무·서무, 묘문(廟門) 등을 복원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그 당시에 지은 것이다.[2]제사지내는 공간인 5칸의 대성전과 동무,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7칸의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 남아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2]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2]
2023.11.28 -
상주 - 도남서원
1606년(선조 39) 상주시 도남동에 창건되었으며 1676년(숙종 2) 임금으로부터 편액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1797년(정조 21) 동·서재를 건립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였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92년 지역 유림들이 힘을 모아 강당 등을 건립하였고 이어 동·서재를 지었다. 2002년부터 대규모의 복원이 이루어졌다. 경내에는 도정사, 손학재, 민구재, 정허루, 장판각, 전사청, 영귀문, 고직사, 일관당, 입덕문 등이 들어서 있으며 해마다 음력 2월, 8월 하정일(下丁日)에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인물들에게 제사를 지낸다.[네이버 지식백과] 도남서원 [道南書院] 상주 경천섬 유원지
2023.10.24 -
예천 - 용궁 향교
정종 2년(1400)에 불타 없어졌던 것을 중종 7년(1512)에 이곳에 복원했으나 임진왜란 때 다시 불타버렸다. 그 후 선조 36년(1603)에 대성전(大成殿)과 명륜당(明倫堂)을, 인조 14년(1636)에 세심루(洗心樓)를 새로 지었다.1863년 7월 하순에는 명륜당만을 중수하였고, 1873년 10월에 대성전을, 그해 11월 서재를 중수하였다. 그 후 동·서재는 허물어져 없던 것을, 동재만 근대에 와서 원상복구하였다. 1893년 8월에 다시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1917년에 향교 건물 전반에 걸쳐 중수하였다. 1967년 6월에 보수하여 어느 정도의 면목을 새로이 했으나, 단청은 다시 칠하지 않았다. 1978년 8월에 국비로 대성전, 명륜당 등 건물 보수를 하였다.[네이버 지식백과] 용궁향교 [龍宮鄕校..
2023.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