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향교. 서원

(14)
괴산 - 향교 괴산 향교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1981년 12월 2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명륜당은 1569년(선조 2)에 처음 건립되어 1647년(인조 25)과 1683년(숙종 9)에 중수되었고 1981년에 다시 보수되어 현재에 이른다.네이버지식백과
무주 -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처음은 현의 동쪽에 건립하였다가 그 뒤 북쪽으로 옮겼는데, 이건한 뒤 호랑이의 침해가 심하여 1692년(숙종 18) 부사 김몽상(金夢上)이 향로산(香爐山) 서쪽으로 다시 옮겼으나 지대가 습하여 1834년(순조 34) 이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876년과 1884년 두 차례에 걸쳐 중수하고, 1897년(고종 34) 군수 조병유(趙秉瑜)가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1966년에 보수하였다. 1834년 김속(金涑)이 쓴 『향교이건기(鄕校移建記)』를 통해 무주의 열악한 상황을 알 수 있다. 무주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사대부가 부족하고 무주향교 건물도 방치되어 유교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
고령 - 향교 高靈鄕校창건연대는 미상이나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하여 군의 서쪽에 창건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을 때 위패만을 옮겨 매안(埋安)하였다.1676년 위패를 매안하였던 장소에 중건하였고, 1702년 현감 구문유(具文遊)가 당시의 향교 위치가 불길하다 하여 현위치로 이건하였다. 1917년 빈흥재(賓興齋)를 건립하였고, 1974년 교궁(校宮)을 전면 보수하였으며, 1983년 내삼문(內三門)을 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현재의 향교에는 사찰에서 사용한듯한 석재가 많이 있어서 향교를 이건하기 전에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현존하는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과 8칸의 명륜당 및 빈흥재·서무(西廡)·주사(廚舍)·내삼문·외삼문 등이 있다.대성전에는 5성(五聖)·..
김천 - 김산향교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2]김산향교는 조선 태조 1년(1392) 처음 지었으며,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인조 12년(1634) 대성전과 명륜당을 다시 지었고 동재·서재, 동무·서무, 묘문(廟門) 등을 복원하였다. 지금의 건물은 그 당시에 지은 것이다.[2]제사지내는 공간인 5칸의 대성전과 동무,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7칸의 명륜당, 학생들의 기숙사인 동재·서재, 내삼문, 외삼문 등이 남아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2]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들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2]
상주 - 도남서원 1606년(선조 39) 상주시 도남동에 창건되었으며 1676년(숙종 2) 임금으로부터 편액을 받아 사액서원이 되었다. 1797년(정조 21) 동·서재를 건립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중수하였다. 1871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92년 지역 유림들이 힘을 모아 강당 등을 건립하였고 이어 동·서재를 지었다. 2002년부터 대규모의 복원이 이루어졌다. 경내에는 도정사, 손학재, 민구재, 정허루, 장판각, 전사청, 영귀문, 고직사, 일관당, 입덕문 등이 들어서 있으며 해마다 음력 2월, 8월 하정일(下丁日)에 위패를 봉안하고 있는 인물들에게 제사를 지낸다.[네이버 지식백과] 도남서원 [道南書院]      상주 경천섬 유원지
예천 - 용궁 향교 정종 2년(1400)에 불타 없어졌던 것을 중종 7년(1512)에 이곳에 복원했으나 임진왜란 때 다시 불타버렸다. 그 후 선조 36년(1603)에 대성전(大成殿)과 명륜당(明倫堂)을, 인조 14년(1636)에 세심루(洗心樓)를 새로 지었다.1863년 7월 하순에는 명륜당만을 중수하였고, 1873년 10월에 대성전을, 그해 11월 서재를 중수하였다. 그 후 동·서재는 허물어져 없던 것을, 동재만 근대에 와서 원상복구하였다. 1893년 8월에 다시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1917년에 향교 건물 전반에 걸쳐 중수하였다. 1967년 6월에 보수하여 어느 정도의 면목을 새로이 했으나, 단청은 다시 칠하지 않았다. 1978년 8월에 국비로 대성전, 명륜당 등 건물 보수를 하였다.[네이버 지식백과] 용궁향교 [龍宮鄕校..
성주 - 향교 성주향교대성전 과 명륜당 우리나라 문화재 보물로 지정성주 읍내에 있습니다.  성주읍 예산리 교촌마을에 있는 성주향교는 1398년(태조 7)에 창건되었다.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과 강당인 명륜당을 앞뒤로 배치하는 일반적인 향교와 달리 성주향교는 대성전을 오른쪽, 명륜당을 왼쪽에 배치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기와를 얹은 겹처마 맞배지붕집이다. 두리기둥을 사용하였으며 향교에서는 보기 드문 내외 2출목(二出目)의 다포 양식으로 가구를 짰다. 안에는 공자와 조선 18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여기에서 봄가을에 공자에게 제사를 드리는 석전제(釋奠祭)를 지낸다.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고 마당 양쪽에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있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집이다...
김천 - 섬계서원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 선생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서원으로, 1802년(순조 2년)에 창건하였다. 1868년(고종 5년)에 서원 철폐령으로 헐렀다가 1899년 강당을 새로 세웠다. 서원의 정침(正寢)인 세충사(世忠祠)에는 백촌 김문기 선생과 그의 맏아들 영월군수 여병재(如甁齋) 현석공(玄錫公)을 제사하고, 동별묘(東別廟)에는 반곡(盤谷) 장지도(張志道)·절효(節孝) 윤은보(尹殷保)·남계(南溪) 서질(徐騭)을 배향한다.1959년 향유 이만영(李晩永)·박원동(朴元東)·이현돈(李鉉墩) 등이 전국 각지의 유림에 복원을 호소하고 본손인 김연직(金淵直)·김철규(金哲圭)가 세충사를 세웠지만 동별묘를 세우지 못하자 세충사를 가로막아 위패를 봉안하였다. 1995년 도비를 지원받아 1996년 11월에 동별묘를 세우..
김천 - 지례 향교 김천시 지례면 교리에있는 조선시대 향교입니다. 지례향교는 정확한 창건 연대를 확인할 수 없다. 명륜당은 1426년(세종 8)에 지례현감 동래인 정옹이 창건하였다.1485년(성종 16) 현감 김수문이 명륜당을 중건하였다.임진왜란 때 향교가 소실되었다가. 1690년(숙종 16)에 현감 유준광이 교궁을 중수하였고, 1774년(영조 50)에 사반루를 건립하였다.지례향교는 1913년 김산향교에 폐합되었다. 예전의 조선시대 건축양식으로 세워진 정자나 루 목조로 세웠는데 우리나라 어디든 비슷한 형태이네요. 문이 굳게 잠겨 있네요.안에 들여다 볼 수 가없습니다.오랜 역사를 지닌 문화재를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개방좀 해주시면 좋겠네요. 옆길로 올라가면 별채였는지예전에 제가 살든 집이랑 같은 구조여서 참으로 정겨웠..
선산 - 월암서원 골드k 일기---  경상북도 구미시 도개면 월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1630년(인조 8)에 이 지역 출신으로 절의를 지킨 하위지(河緯地), 이맹전(李孟專) 및 고려말의 충신 김주(金澍),명종 때의 학자 박운(朴雲) 등을 기리기 위하여 설립되었다.1694년(숙종 20)에 사액서원이 되었으며,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2010년 복원되었다.[네이버 지식백과] 월암서원 [月巖書院]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서원입구에 커다란 표시석.워낙 단단한 바위에 새겨져 오래오래 지킬듯 합니다. 이곳은 관리소인가 보네요.입구 뒷길을 돌아가면 월암서원을 들어갈 수 있습니다. 문이 열려있네요.어떤곳은 문이 잠겨져있는곳이 있는데....개방을하여 많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볼 수 있도록 했..
구미 - 해평 낙봉서원 해평 "낙봉서원" 입니다. 해평면 낙성리 작은 마을 옆으로나즈막한 "미석산" (해발 169) 이 있습니다. "미석산" 이 고대에 명당으로 보는바고려시대로 추정되는 미륵불이 보존된 "보천사"가 있으며뒤로는일선(선산) 김씨 "순춘공 김선궁" 묘소가있고또한  "경은선생" 묘소도 자리잡고 있습니다. (경은선생 유허비는 형곡동 도서관 공원에있슴)  대문이 닫겨있는데열고 들어가면 됩니다.  경상북도 구미시 해평면에 있는 조선후기 김숙자 등 5인의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 문화재자료. 1647년(인조 2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숙자(金叔滋)·김취성(金就成)·박운(朴雲)·김취문(金就文)·고응척(高應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1787년(정조 11)에 ‘낙봉(..
김천 - 개령 향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119호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개령향교는 조선 성종 4년(1473)에 관학산 밑에 처음 지었는데, 광해군(재위 1608∼1623) 때 동쪽으로 옮겼다가 헌종 3년(1837)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은 것이다.일제시대 폐교되어 금산향교에 합쳐졌다가 1946년 복원하였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문인 외삼문을 들어서면 앞쪽에 교육 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그 뒤에 있는 내삼문을 통해 들어서면 제사 공간인 대성전을 배치하였다.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과 우리나라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앞면 4칸·옆면 3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지붕 처..
선산 - 금오서원 선산읍에있는 금오서원 입니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60호로 지정되어있으며.고려말 길재(吉再)의 학문과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1570년(선조 3) 금오산 밑에 건립 채미정 (採薇亭:경북기념물 55)하였다가 1602년(선조 35년) 서원 자리가 너무 외딴 곳에 있어 관리가 불편하다는 이유로지금의 남산(藍山) 기슭에 복원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구미지역에 옛 역사의 훌륭한 충절의 공신들이 있었다는 점에자랑스럽네요. 읍청루 정문은 출입이 불가합니다.우측으로 돌아가면 작은 문이 있는데 살짝 밀고 들어가면 내부를 자세히 볼 수 있어요. 부백 김사철 송공비조선 후기의 비석 금오서원 정학당 칠조교훈 현판 여기 마룻바닥에서드라마에서 공부하는 장면이 뜨오르네요. 뒤뜰로 돌아가면위패가 모셔진곳이 있어요. 내삼문 상현묘위패가 모..
선산 향교 선산에있는 향교에 가봤습니다.지나다 멀리 산능선에 보이는 고택인데 뭔지 궁금했거든요. 향교입구 주택 벽화글이 많이 들어본 글귀입니다.구미분들 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지 않았을까 생각되네요.조선시대에 몇 안되는 학당그 명륜당이 구미 선산에 있다는 사실입니다.마당 한가운데 용도가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아시는분~~뒤뜰로 해서 안으로 들어와봤습니다.마당엔 풀한포기 없이 말끔히 깨끗하게 관리가 잘 되고있네요~"조선인재 반은 영남에서 나고영남인재 반은 선산에서 났다"......과거 학원 운영할때 이 글을 적어 아이들 보게했습니다. 오래오래잘 보존되어 구미의 자랑으로 남기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