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020)
진안 - 마이산 진안 마이산 오래전 다녀온 마이산주차장에서 한참을 걸어갔는데그땐 얼마 멀지 않은 거리였다 생각했는데 오늘은 웬지 거리가 멀어보인다.한참을 걸어 갔드니예전의 추억 그데로별반 달라진것 없는 마이산. 입장료가 갠적으로 비싸다고 생각됨.돌탑은 전국 여기 저기 개인적으로 소원을 비는 정성과 기도를 주문하는본인과의 타툼 이기도 보이는데. 마산의 팔용산 구미의 금오산 오형돌탑은 낭떠리자 위험한 장소에신기할 정도로 세워져 있지만 입장료 없어요.
김제 - 금산사 금산사는 백제법왕 원년(599)에 창건되었습니다.766년 진표율사는 미륵장육존상을 세우고 미륵전을 지어 점찰법과 미륵십선계로 민중을 교화하였습니다.1079년(고려 문종33) 혜덕왕사 소현 화상이 대사구와 봉천원구, 광교원구 등 총 88당 711칸의 대가람으로 중창하였고, 35부 353권의 불교전적을 판각하여 유통시킴으로써 유가종찰과 미륵성지의 위상을 한층 격상시켰습니다. 1592년(조선 선조25)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뇌묵 처영대사는 천여명의 의승군과 함께 왜군을 격퇴한 혁혁한 전공을 세웠습니다. 1635년(조선 인조13)수문대사가 지훈, 덕행, 천성, 응원, 학련, 대전, 운근 등 15명의 화상과 함께 35년간에 걸쳐 대적광전과 미륵전, 대장전 등 대사구역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금..
대구 - 육신사 육신사는 조선 세조 때 사육신으로 일컫는 박팽년, 성삼문, 이개, 유성원, 하위지, 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처음 사당을 지을 때는 박팽년(醉琴軒 朴彭年) 선생만을 모셔 제사 지냈으나, 선생의 현손인 박계창이 선생의 기일에 사육신이 사당 문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후로 나머지 5위의 향사도 함께 지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숙종 17년인 1691년 낙빈사를 지어 이들을 봉안하고 제사 지냈으나, 서원 철폐령으로 낙빈사가 서원과 함께 철거되었으며, 1924년 낙빈서원이 재건되면서 위패를 다시 봉안하게 되었다. 1974년부터 1975년 사이 [충효 위인 유적정화사업]에 의해 현재의 위치에 육신사로 이름을 붙여 재건하였고, 2003년부터 2011년에 걸쳐 충절문을 세우고 건물을 복원하였다.
보은 - 속리산 법주사 법주사라는 절 이름은 의신조사가 천축으로 구법여행을 떠났다가 흰 나귀에 불경을 싣고 돌아와서 머물렀기 때문에 ‘부처님의 법이 머무는 절’이라는 뜻이 법주사라 이름 지었다고 합니다.절이 위치한 속리산은 예로부터 조선8경으로 꼽히던 산인데, 산세의 아름다움도 있었지만 법주사가 자리한 산이었기 때문에 명산에 빠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속리산 법주사는 서기 553년 의신조사께서 창건한 역사 깊은 고찰이며, 수많은 문화유산과 불교전통을 간직한 호서지방 제일의 가람이기도 합니다. 기록에 의하면, 사찰이 번성할 때는 60여 동의 전각과 70여 개의 암자를 거느린 대찰이었다고 전해지나 전란으로 대부분 소실되어 현재는 30여 동의 건물만이 보존되어 있습니다. 또한 법주사는 목조탑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팔상전을 비롯하여 ..
영주 - 번개시장 영주 역앞에 있는 번개시장번개처름 짬깐 매매가 활발히 이루어 졌다가빨리 파장을 하는 번개시장. 파장 하였는지 사람들이 없네요~
괴산 - 전통 오일장 충북 괴산 전통 오일장 입니다.3일과 8일에 열리는 오일장.가는날이 장날.😁사람들도 많고 먹을것, 군것질용,식사용, 간식용,배고픈 분들 여기로 오세요 ㅋㅋ사진이 많은데 간추려 올렸어요. 잼있게 보세요~~^^😂 닭장 속에는 닭들이 꼬꼬댁~~~ 🐔 🐔 ㅋㅋㅋㅋㅋ닭팔러 가지고 나오셨는데 이건 진짜 옛 시장 풍경 그데로네요.어릴적에 보든 그 분위기 ㅋㅋㅋ 오리도 있어요. 누군가 데리고 주인 잘 만나서 잘 커야 할텐데 ~~~
괴산 - 향교 괴산 향교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1981년 12월 26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 명륜당은 1569년(선조 2)에 처음 건립되어 1647년(인조 25)과 1683년(숙종 9)에 중수되었고 1981년에 다시 보수되어 현재에 이른다.네이버지식백과
무주 - 반딧불 오일장 무주  1일과 6일 오일장이 서는 반딧불 오일장 입니다. 1890년경 시장이 형성되었고 1919년 당시에는 3.1운동의 역사적 현장 이랍니다.한국전쟁 당시 장터가 불타고  1950년에 이 장소로 옮겨 자연스레 오일장이 형성 되었다는기록이 있습니다.     봄향기봄의 흙냄새 뭍어나는 나물들 그리고 작목들지역의 유명한 음식점과 꽈배기는 간식으로 무주 시간의 명품으로 인기가 최곱니다.저도 몇개 사와서 알바 일터에 갔다거 나눠 먹고요~~ 천천히 사진 구경 하세요 ^^  무주에는 사계절 볼거리와 가볼곳이 많습니다. 겨울에는 스키장여름에는 구천동 계곡이 유명하죠태권도의 고장이라 세계대회는 무주에서 주최하며 곤충 박물관이 있는데... 지나시는 길목이시면 꼭 한번 다녀 오시라고 권장 드립니다. 그러나반딧불은 못봤습니다..
무주 -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처음은 현의 동쪽에 건립하였다가 그 뒤 북쪽으로 옮겼는데, 이건한 뒤 호랑이의 침해가 심하여 1692년(숙종 18) 부사 김몽상(金夢上)이 향로산(香爐山) 서쪽으로 다시 옮겼으나 지대가 습하여 1834년(순조 34) 이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1876년과 1884년 두 차례에 걸쳐 중수하고, 1897년(고종 34) 군수 조병유(趙秉瑜)가 대성전을 중수하였고, 1966년에 보수하였다. 1834년 김속(金涑)이 쓴 『향교이건기(鄕校移建記)』를 통해 무주의 열악한 상황을 알 수 있다. 무주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사대부가 부족하고 무주향교 건물도 방치되어 유교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
김천 - 혁신도시 김천 혁신도시 야경 갤러시 s24 울트라     RX100
보은 - 관기 오일장 "관터장" (관기재래시장)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5일장. 형성 초기에는 우시장과 더불어 곡식의 물물교환 형식으로 운영되었으며, 1970년대까지 성황을 이루었으나, 유통산업의 개방과 농촌인구의 격감이 이루어진 1980년대 이르러 서서히 퇴조하게 되었다.  지금도 옛 전통을 이어 5일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행정기관과 시장 번영회가 재래식 장터의 활성화를 추진하면서 서서히 옛모습의 시장으로 살아나고 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자료 옮겨옴"   4일과 9일에 서는 오일장상인 몇명만 보이고 사람들은 거의 없는 상태 입니다.예전에는 아이들도 시장구경 다니고 했었지만 요즘은 시장에는 아이들은 보이지 않습니다.
영동 - 황간 원남 오일장 충북 영동군 황간면 회포리 134-2원남 오일장3일과 8일 오일장이 서는데 오늘은 장 서는 날이 아니라동네 풍경 구경만 하고 온 하루렸습니다. 한적한 시골의 오일장 이지만 인구가 많지않아 장이 서드라도 상인들이 많이 오지 않을듯 합니다.
가평 - 명지산 승천사 가평 명지산 승천사 2012‎년 ‎4‎월 ‎16‎일 기록사진당시 승천사는 운영을 하지 않고 있었슴 석조 미륵 보살상
문경 - 사불산 대승사 문경 대승사 대승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로 1644년(인조 22)과 1722년(경종 2)에 의현, 종수 등이 중수하였고,1831년(순종 31) 구담이 중창하였다. 1922년 큰 화재로 불타 의운, 덕산이 복원시켰는데, 1956년 또 다시 큰 화재가 발생하여 명부전과 극락전만 남고 소실되어, 1960년 남인 대휴 등에 의해 삼창되었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자료
대구 - 비슬산 유가사 비슬산 유가사 889년, 진성여왕 3년 탐잠(垣岑)이 중창하였으며, 1047년, 고려 문종 1년 학변(學卞)이 중수하였으며, 1452년, 조선 문종 2년 일행(逸行)이 중수하였다.사찰이 번성하였을 무렵 99개의 암자, 3천 명의 승려가 머물렀으며, 일연스님도 한때 이곳에 기거했었다.1592년, 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불에 탔다.1682년, 조선 숙종 8년 도경(道瓊) 화상이 대웅전을 보수하였고, 1729년, 조선 영조 5년 취화(就和)와 파봉(巴峰)이, 1760년, 보월(寶月)이, 1776년, 밀암(密庵)이, 1797년, 낙암(洛巖)이 각각 중수 또는 중창한 바 있다.1976년부터 대대적인 불사를 일으켜 오늘에 이른다. 유가사 홈페이지 자료
가덕도 - 해저터널, 용원 어시장 진해 용원 수산시장가덕도 해저터널 지나김영ㅅ 전 대통령 생가로 다녀온 사진